ALL

1. 집합과 연산 (8월 완) 2. 명제와 조건 (8월 완) 3. 실수 체계 (8월 완) 4. 정수 (8월 완) 5. 다항식의 사칙연산(9월 완) 6. 인수분해 (9월 완) 7. 항등식과 미정계수(9월 완) 8. 나머지 정리 (22.11.6 ~ 22.12.31 ) 9. 다항식의 약수와 배수(23.01.01) 10. 유리식(23.01.03 ~ 23.01.04) 11. 무리수와 무리식(23.01.04) 12. 복소수 체계(23.01.05) 13. 일차-이차-고차방정식(23.01.09~23.01.11) 14. 연립방정식(23.02.17) 15.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23.02.23) 16. 근과 계수의 관계 17. 방정식 이론 18. 일차-이차 부등식 19. 여러가지 부등식
너무나 오랜시간 동안 방황을 했는데, 공학도로써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방황을 하는 동안 "공부"라는 것을 너무 오래 놓아버렸다. 학창 시절(고등학교) 제일 자신있었던 수학의 대부분을 잊어 버렸고, 전공 때 들었던 공업수학이나 통계학, 미분적분학은 A대의 성적을 맞기는 했지만 대부분이 벼락치기로 지금 대부분 기억이 나질 않는다. 물론 대학전공 자체가 휘발성이 강한것은 나만 그런 것은 아닐 수 있고, 내가 가고 싶은 분야가 아니라면 반드시 모두 기억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그 당시 본인이 했던 노력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나는 선을 조금 넘은 것 같다. 기본적인 고등 수학조차 자신있다는 말 한마디 못 뱉으니 말이다. 당장에 취업에 도움이 안될 지라도 나는 재활훈련을 할 필요가..
· Books/IT
1회독 독서 시작 : 2021.09.08 ~ ??? 회고를 위한 독서 : 미정 ~
· Books/IT
2024.01.02~ 2024.1.12 ch2 변수()
· Books/IT
2022.08.26 ~ 1장 (23.01.01) 2장(자료형) (23.01.01 ~) 3장(제어문) 4장(입출력) 5장(날개달기) 6장(프로그래밍 시작) 7장(정규표현식)
import random def start(): rsp = input("가위바위보를 선택하세요.") if(rsp == "가위") : return 0 elif(rsp == "바위") : return 1 elif(rsp == "보") : return 2 else: print("잘못된 입력입니다.") start() 위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start 라는 함수를 호출하면 컴퓨터는 나에게 입력값을 요구한다.(line3) 내가 "가위" 혹은 "바위" 혹은 "보"를 입력하면 거기에 알맞은 리턴값을 반환하지만 (line 4~9) 그 외의 값을 입력하면 "잘못된 입력입니다." 라는 말을 출력후 다시 start함수가 시작 된다. (line 10 ~12) 그런데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
새벽녹차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