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수단위 i
실수 범위에서는 제곱하여 음수를 구할 수 없다.
그래서 수의 확장이 필요한데, 그걸 복소수라 하며 복소수 중 허수의 단위는 \( i \)다.
\( i^2 = -1\) 로 정의한다.
2. 켤레복소수
복소수 \( z= a +bi\) 가 있다고 했을 때, 허수부분의 부호만 반대인 복소수를 의미한다.
복소수 : \( z= a +bi\)
켤레복소수 : \( z= a -bi\)
3. 제곱근 계산시 주의할 점
임의의 두 실수 a,b가 양수일 때
\(\sqrt{a}>0, ~\sqrt{b}>0 \) 면
\(\sqrt{a}\sqrt{b} = \sqrt{ab}, ~~\frac{\sqrt{a}}{\sqrt{b}} = \sqrt{\frac{a}{b}}\) 이 성립한다.
그런데 복소수로 수의 범위를 확장하면 루트안에 음수도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a와 b가 음수일 때 표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생긴다.
\( a < 0, b < 0\) 일 경우
\( |a| = \alpha, |b| = \beta \)라고 하자 그럼
\(\sqrt{a}\sqrt{b} = \sqrt{\alpha}i\sqrt{\beta}i = -\sqrt{ab} ~~ \because i^2 = -1, ab = \alpha\beta\)
\(\frac{\sqrt{a}}{\sqrt{b}} = \frac{\sqrt{\alpha}i}{\sqrt{\beta}i} = \sqrt{\frac{\alpha}{\beta}} = \sqrt{\frac{a}{b}} ~~ \because ab = \alpha\beta\)
둘다 음수인 경우 곱은 -가 생기지만 나눗셈은 i가 약분되어 사라짐에 주의해야 한다.
그런데 둘다 음수인 경우보다 둘 중에 하나만 음수인 경우 또한 주의해야 한다. 특히 분모가 음수인 경우와 분모가 양수인 경우에도 결과가 다름에 주의하자.
\( ab < 0,~ |a| = \alpha, |b| = \beta \) 일때,
\(\sqrt{a}\sqrt{b} = \sqrt{\alpha\beta}i\) 그런데 \(ab = -\alpha\beta\) 이므로
\(\sqrt{a}\sqrt{b} = \sqrt{\alpha\beta}i = \sqrt{ab} \)
분수의 경우 분자가 양수, 분모가 음수 일 때
\( \frac{\sqrt{a}}{\sqrt{b}} = \frac {\sqrt{a}} {\sqrt{\beta}i } \) 분자 분모에 \(i\)를 곱하면
\( \frac {\sqrt{a}i} {-\sqrt{\beta} } \) 그런데 여기서 분자가 양수 였으므로
\( \frac{\sqrt{a}}{\sqrt{b}} = - \sqrt{\frac{a}{b}} \)
반대로 분자가 음수, 분모가 양수 일 때
\( \frac{\sqrt{a}}{\sqrt{b}} = \frac {\sqrt{\alpha}i} {\sqrt{b} } = \sqrt{\frac{\alpha}{b}}i \)
그런데 여기서 분모가 양수 이고 \( \sqrt{a} = \sqrt{\alpha}i \) 이므로
\( \frac{\sqrt{a}}{\sqrt{b}} = \sqrt{\frac{\alpha}{b}}i = \sqrt{\frac{a}{b}} \)
'Math > 수학 - 상 (초판 0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립 방정식 ch(14) (0) | 2023.02.23 |
---|---|
n차 방정식 ch(13) : 고등학생 시절 반성문 (0) | 2023.02.21 |
무리식 : 이중근호 (ch11) (1) | 2023.01.11 |
유리식 - 가비의 리, 부분분수 ((ch10)) (0) | 2023.01.11 |
다항식의 약수와 배수 (ch9) (0) | 2023.01.11 |